본문 바로가기

단편 연재/투명개미에 대한 연구 (SF)8

투명개미에 대한 연구 - (8, X) 完 8. 결론: 인간 실권에 대한 소설 기술의 구현가능한 영역이 그 한계에 다다른 것은 아니다. 과학에 대해서도 아직 인간이 알아내지 못한 영역이 많고, 알아낼 수 있는 영역이 많다. 범인류적 시점에서 동력을 잃었다는 것이 보다 적절한 설명일 것이다. 후대에야 빛을 볼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위해 현재의 자원을 투입하려면 세대를 초월한 유대가 필요하다. 그동안의 그것은 강력한 사상적 통제를 통해, 종교적인 관념을 곁들인 설득을 통해, 혹은 얄팍한 속임수를 통해 가능했다. 자본주의의 최종 진화 형태는 그 셋 모두를 합리의 이름으로 무너뜨렸다. 중국은 강력한 인민통제를 통해 기술의 발전이 민중들에게 자유와 다양한 진실들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려 했지만, 북한 지도층이 붕괴하며 생긴 소란의 틈을 타 반동의 씨앗이 .. 2021. 12. 28.
투명개미에 대한 연구 - (7) 7. 실험: 이 논문이 탄생한 배경 논리적인 접근으로 보이지 않던 어떤 것들이 사랑을 나눈 뒤로 오히려 명쾌하게 보이는 놀라운 경험을 할 수 있었다. 기억 속에 남아있던 인간이 아닌 어떤 것들의 본능적인 짝짓기와는 차원이 다른 무언가였다. 여기서 ‘차원이 다르다’는 표현은 물론 잡담에 속하는, 관습적인 형용어구이다. 기억의 물질적 본체가 신경줄기에 매달린 단백질 덩어리라면, 여러 생을 거쳐서 기억이 전달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불타거나 썩어없어진 유기물 덩어리 중에 어떻게 살아남은 덩어리들이 세상을 떠돌다 새롭게 형성되는 배아를 구성할 때 끼어든 결과라고 보아야 하는것일까? 특별히 강렬했던 기억들은 그 생성된 숫자가 많아서 후대의 기억하는 이들에게 보다 많고 선명하게 전달이 될 수 있었던 것일까? 그.. 2021. 12. 23.
투명개미에 대한 연구 - (6) 6. 연구 과정의 기술적 어려움과 그것을 극복한 방법: 0과 1 전생의 진위여부를 파악한다는 골자로 연구비를 딸 수는 없었기에, 우리는 실제 기억이 흐려지고 조작되는 과정을 밝혀내 지어낸 이야기와 착각한 진술을 구분하는 기술을 개발하겠다는 취지로 국가연구소의 투자지원을 유치했다. 기억을 그 자체로 영상화하지는 못하더라도, 어떤 사람이 언어로 서술하는 기억이 어느 정도의 신뢰 수준을 갖는지 판단하여 그것을 시각화하는 것만으로도 제법 훌륭한 대체 기술이 될 수 있다. 범죄 수사나 심리 치료 등의 목적에 응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우리가 팀의 실제 연구 목적을 보다 장기적이고 거창하게 설정했을 뿐, 실제 연구의 방향도 과제의 목적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니 윤리적으로 문제가 될 일은 없었다. 다만 뇌 지도.. 2021. 12. 21.
투명개미에 대한 연구 - (5) 5. 연구 과정 소개 나는 일곱 개로, 연구팀의 사람들 중에서도 많은 기억을 가지고 있는 편에 속했다. 무엇보다 그 시간 순서의 개념을 어렴풋이 가지고 있다는 것을 그들도 처음엔 믿어주지 않았다. 내가 지표면에서 몇미터 높이에 있는지, 어제의 그곳보다 높은지 낮은지를 감각할 수 없듯, 시간에 대해 상대적 감각을 정의하는 것이 불가능하지 않겠냐고. 상대적인 감각을 신뢰한다고 지구가 평평한 것은 아니고, 내가 느꼈던 시간 감각이 없었던 것이 되는 것도 아니다. 분명 지구의 젊음과 내 영혼 비슷한 무언가의 싱싱함에는 시간대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우리는 기록함에 있어 연구의 요소가 될 명제들과 서로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잡담을 분명하게 구분했다. 다만 말로 떠들때는 그 구분이 모호해, 우리는 종종 일하듯이 놀고.. 2021. 12. 16.
투명개미에 대한 연구 - (4) 4. 가설 1: 기억과 창작 그녀의 손녀 딸이 투명한 황금 개미를 언급했다면, 선생님은 나를 곧장 생각해냈을 것이다. 내가 이 이야기를 할 당시 혼자 너무 다른 세상에 집중하는 동안 현생에서는 미취학아동도 안 할 법한 실례를 해버리고 말았으니까. 어느 누군가는 너의 그 상상력을 문학적인 방향으로 뻗어보라고도 했었다. SF 장르가 너를 기다리고 있다나. 그러나 그들은 결국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기억하는 사람과 창작하는 사람의 일은 같지 않다는 것을. 기억과 창작이 생물학적으로 어떻게 다른지 나는 모른다. 다만, 나의 경우 기억하는 삶을 살았고 창작자의 그것과는 분명 달랐다. 다인도 마찬가지였고, 후에 잠시 만나게 된 우리와 같이 과거 너머의 과거를 기억하는 사람들로 구성된 연구팀의 모든 사람들에게도 마찬.. 2021. 12. 14.
투명개미에 대한 연구 - (3) 3. 추측 1: 황금 개미 “김군, 사과부터 할게요. 정말 미안해요.” 그 말을 하는 그녀의 표정이 그 이상으로 이상하게 느껴져서, 나는 또 내가 소중한 인연 하나를 망쳐버린건가 하는 망연자실함에 온 몸에 힘이 빠졌다. “이 못난 늙은이를 용서해주기바라요. 김 군의 도움이 정말 필요해요.” 제가 기대한 만남은 이런 흐름이 아니었어요 선생님. 온 세상에 단 하나뿐이던 숨구멍을 십여년만에 뒤져서 찾아냈는데 막혀있는 기분이라면, 이해하시겠나요. 아, 그런 표정 비겁해요. 제가 어찌. 제 간이라도 필요하다면 가져가세요. 하지만 절 아직 이해한다고 해주세요. 제발. “전 사실 김군을 이해하지 못했어요.” 씨발. “하지만 김 군, 난 다 기억해요. 김 군의 이야기. 저, 진심이었어요. 학생들 상담하면서.” “저, .. 2021. 12. 9.